대학원/스크랩

국내 인공지능을 이용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활용 사례

김해김씨99대손 2022. 12. 1. 10:38

 

1. 분변 검사로 간질환을 조기 진단

-  아이도트 &한림대 춘천성심병원

- 간질환 환자 1,800명의 마이크로바이옴 빅데이터를 학습->  간질환 이상 여부를 정상(지방간), 간염, 간경변, 간암 총 4단계로 구분해 진단

- 아직 개발 중 

 

2. 노인성근감소증 치료제 

- 바이오리더스&아주대 연구팀

-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수준의 약효를 보이는 후보물질 ‘BLS-M32’를 개발하고 이를 마이크로바이옴 표면에 단백질이 발현

- 마우스 모델에서 BLS-M32를 경구 투여한 후 2개의 항원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측정한 결과, 대조약물 동물군에 비해 모든 동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특이적 면역반응이 유도

- 아직 개발 중 

 

3.  AI기반 스킨 마이크로바이옴 솔루션

- 휴앤바이옴

- 한국인 특화된 다양한 멀티오믹스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마이크로바이옴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아직은 환자 정보를 인공진능으로 분석하여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와 연관짓는 것이 많다.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자체에 AI적용하는 것은 별로 없는듯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12150180 

http://hunbiome.com/microbiom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