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스크랩

[스크랩] 지질체학(Lipidomics)의 연구동향 (2018)

김해김씨99대손 2023. 8. 21. 20:31

- 웹링크 : https://www.ibric.org/myboard/read.php?Board=report&id=2883 

 

지질체학(Lipidomics)의 최신 연구동향

지질은 물에 녹지 않는 성질을 지니고 있으며, 지질체는 4,000여 개의 다양한 화합물로서 인체의 다양한 조직과 세포 내부에 존재한다. 인체의 여러 가지 대사작용에 관여하는 지질을 복합적, 체

www.ibric.org

 

 

서론

- 녹는 지질 :  지방산(fatty acids), 왁스(waxes), 아이코사노이드(eicosanoids), 모노글리세드(monoglycerides), 다이글리세드(diglycerides), 중성지방 (triglycerides), 인지질(phospholipids), 스핑고지질(sphingolipids), 스테롤(sterols), 터핀(terpenes) 등 

- 녹지 않는 지질 : 비타민(vitamins A, D, E and K)

- 최근 바이오 마커로 사용 ex) 소변의 자간전증, 임신중 태반의 건강상태 등

 

지질체학이란?

- 지질의 종류 : 1) 세포의 막을 형성하는 지질, 2) 에너지와 관련된 지질, 3) 신호전달(Signaling)에 관련된 지질, 4) 그 외

- 정량방법

  1) Un-targeted : 지질이 정체되는 시간(LC separation)을 측정하거나, 무게와 극성의 비율 사용 

  2) Targeted : 지질체의 정체성(identity)과 그것의 강도(intensity)를 메트릭스 형태로 산출

 

- 지질 분석

  1) Chromatography : 지질을 음이온과 양이온으로 분류

  2) 질량분석계 : 무계를 기반으로 지질을 정량

  3) 대사 : 분석된 지질을 kegg등을 이용해 대사 관련 정보 확인

 

- 주요 지질

  1) Glycerophospholipids : 인지질/ 세포막의 주 성분/ 소기관(핵, 클로로, 미토 에서 사용)

  2)  Glycerolipids : mono-, di- , tri-로 존재/이 중 tri-는 에너지 저장 창고 

  3) Sphingolipids : 세포막 구성, 스핑고 지질의 항상성 중요 -> 세포사이 접촉, 구조, 신호전달 + 인슐린 대사 등

 

- 지질체학의 방법론

  1) 지질의 명명(IUPAC-IUBMB 기준 )

영어 원문 (약자) 한국어
Fatty Acyls (FA) 지방산
Glycerolipids (GL) 글리세롤 지질
Glycerophospholipids (GP)  글리세로 인지질
Sphingolipids (SP) 스핑고 지질
Sterol Lipids (ST)  스테롤 지질
Prenol Lipids (PR) 프레놀 지질
Saccharolipids (SL) 사캐로 지질
Polyketides (PK) 폴디케디드

 

 

연구 한계

- 환경과 시간에 영향을 받으며 매일매일 대사체가 많이 변한다는 점

- 어디에서 샘플을 채취 했느냐에 따라 많은 차이

=> 아직 통계적인 정규화(Normalization)과 실험 재현도(Reproducibility)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필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