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스크랩

[스크랩] KIET : 의료데이터의 활용과 정책 시사점

김해김씨99대손 2023. 6. 15. 13:30

- 원문 : https://www.kiet.re.kr/research/economyDetailView?detail_no=2821&year=2023&month=05&sval=

- 저자 : 최은희

- 파일 :

BioINwatch23-38(5.25)●바이오 분야의 AI(인공지능) 연구 트렌드.pdf
0.26MB


보건데이터의 종류

- 활력징후 : 혈압, 혈당, 호흡, 체온

- 오믹스 : 유전체, 마이크로바이옴 

- 기타 : 앱, 소셜미디어

 

보건 데이터의 형태

- 정형 : 진단명, 처방 코드 등

- 비정형 : 의료기록, 영상, 이미지 등 (보건데이터의 80~90%)

- 반정형 : 의료진의 판독 소견 등 

 

보건 데이터의 유통

- 공공기관 개방 플랫폼 : 질병관리청,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 통계청, 국립암센터, 국립중앙의료뭔, 국민건강보험일산병원,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 국립재활원  

- 민간영역 : 전자의무기록, 처방전달시스템,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유전체정보, 설문/문진 등 

- 개인/기업 : 웨어러블 기기, 센서, App수집 데이터, 라이프로그데이터, 보험자격, 보험료, 의약품 정보 등

 

- 단점 : 공공기관과 민간영역의 의료데이터 연계 불가능

- 최근 이러한 데이터 거래 사업 증가 = 마이헬스웨이

 

의료 데이터의 활용

 

- 의료데이터 거래 모델 : (미)페이션츠라이크미, (한)휴 먼스케이프, (한)레어노트

- 디지텅 치료제 : 솜즈, WELT-I(불면증), 

 

 

<의료데이터 관련 정부 정책 타임라인>

 

결론

1. 각 군의 협의하에 의료데이터 축적이 선행되어야 함

2. 데이터 간의 이동이 자유로워야 함

3. 활용을 위한 법과 제도가 따라주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