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formatics/Sequencing data

[NGS] 04. Long read seuqencing: single molecule real-time(SMRT), nanopore (3세대)

김해김씨99대손 2024. 2. 26. 17:12

| 이전글 

 

 

[NGS sequencing] 01.시퀀싱 기술의 시작, Sanger sequencing (1세대)

| 개요 Sanger sequencing이란 Fredric Sanger(1928~2013)이 만든 시퀀싱 방법을 말한다. Fredric Sanger는 단백질 분자의 시퀀싱 방법과 DNA분자의 시퀀싱 방법으로 총 두개의 노벨화학상을 수상하였다. DNA는 항

bio-kcs.tistory.com

 

[NGS sequencing] 02.현 시대의 No.1 illumina sequencing (2세대)

| 개요 1세대인 Sanger sequencing의 정확도는 매우 높지만, 한 번의 한 서열만 읽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한 것이 서열을 대량으로 읽어내리는 Massive parellel sequencing(MPS)이다. 이는 NGS sequen

bio-kcs.tistory.com

 

[NGS sequencing] 03. 초기 NGS platform 기술: Pyrosequencing, Sequencing by ligation, Semiconductor sequencing (2세대)

| 이전글 [NGS sequencing] 01.시퀀싱 기술의 시작, Sanger sequencing (1세대) | 개요 Sanger sequencing이란 Fredric Sanger(1928~2013)이 만든 시퀀싱 방법을 말한다. Fredric Sanger는 단백질 분자의 시퀀싱 방법과 DNA분자

bio-kcs.tistory.com

 

 

 

 

| 개요

3세대 시퀀싱이란 2세대 시퀀서의 단점인 짧은 시퀀싱 서열 길이를 극복한 방법이며, long-read 시퀀싱이라고 불린다. 그러나 2세대에 비해 에러율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3세대 시퀀싱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는 Pacific Biosciences, Oxford Nanopore Technology, Quantapore (CA-USA), and Stratos (WA-USA)등이 있다. 이들은 single DNA molecules 수준에서 각기 다른 접근방식을 사용한다.

 

대표적인 long read seuqencer

https://en.wikipedia.org/wiki/Third-generation_sequencing

- PacBio single molecule, real-time (SMRT) 시퀀싱은 DNA조각을 환형 DNA로 만든 다음, 미세 구멍 챔버 안에서 polymerase에 의해 DNA가 합성 시 방출된 형광신호를 감지한다.

- Oxford Nano의 nanopore는 미세 구멍을 가진 pore에 ssDNA가 지나가면서 pore의 크기 변형에 따른 전류의 차이를 감지한다.

 

 

3세대 시퀀싱의 이점

1. Long read

Long read 시퀀싱의 장점과 적용 (Pollard MO et al., Human Molecular Genetics , 2018)

2. Epigenetics: DNA methylation에 따른 염기의 변형을 시퀀싱 간격(SMRT)나 전류의 흐름차이(Nanopore)로 인식할 수 있다.

- SMRT의 인식 

Flusberg B et al.,  Nat Methods , 2010 (https://doi.org/10.1038/nmeth.1459)

- Nanopore의 인식

https://nanoporetech.com/resource-centre/tombo-detection-non-standard-nucleotides-using-genome-resolved-raw-nanopore-signal#image1&

 

 

3. Portability and speed

 

 

 

| Pacific Biosciences 사의 single molecule, real-time (SMRT)

 

 

- Single molecule real-time(SMRT) 이란 2010년도에 Pacific Biosciences에서 상용화된 long read 시퀀싱 방법이다.

- 염기와 결합된 형광물질을 측정한다는 점에서 illumina와 sanger와 비슷하지만, 2세대 이전 시퀀서는 빛의 강도가 약하거나 빛 간섭등으로 정확한 측정이 어려웠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SMRT에서 새로 접목한 기술은 the zero-mode waveguide (ZMW)이다.

- ZMW는 silicon wafer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미세구멍 챔버를 뜻한다. 구멍의 지름은 70nm, 깊이는 100nm정도의 구조는 20 zeptoliters (20 X 10−21 liters) 부피의 빛만 측정 가능하게 한다. ZMW는 단일 효소와 서열이 들어갈 공간을 만들어 주변서, 합성 시 생기는 빛이 다른 서열결과를 간섭하지 못하도록 위한 공간을 만든다.

 

SMRT 시퀀싱 과정 살펴보기

Logsdon GA, Vollger MR & Eichler EE, Nat Rev Genet , 2020/ Metzker M, Nat Rev Genet, 2010

 

1. Library 준비

- DNA fragmentation → Hairpin 구조의 adapter에 의한 closed single-stranded circular DNA 생성

- 형광기가 부착된 dNTP

2. ZMW 바닥에 고정된 polymerase에 DNA template의 adapter가 결합된다.

- 형광기가 부착된 dNTP는 phosphate chain에 붙여져 있다.

3. 형광분자가 부착된 4개의 dNTP가 챔버 안으로 유입된다

4. Phi 29 polymerase에 의해 volume이 측정되고, NTP가 합성되면서 잘려나간 형광기에서 light pulse가 생성된다

- 잘려나간 형광분자는 detection volume 밖으로 분산되어 감지되지 않는다.

- 아래에 detectors 가 20-30 nm까지 읽는다 → extremely small microscope을 형성

5. 형광 신호가 수집되고, light pulse가 해석된다.

 

 

장점

- 더 긴 서열 (kbp to mbp) 30–50 kb을 실시간으로 측정 가능하다.

- inter-pulse duration (IPD)으로 methylations을 감지한다.

단점

- DNA가 polymerase와 종종 떨어진다.

- 비싸고 에러율이 높다(하나의 read에 대한 오류율은 약 15%).

    - 단점 보완을 위한 HIFI read( https://www.youtube.com/watch?v=RWGpJNgVILc)를 사용 중이다. 

 

 

 

 

| Oxford Nano의 Nanopore

 

 

 

- Nanopore 기반 DNA sequencing기술은 1990년대에 상용화되었으며, 2012년 Oxford Nanopore Technologies (ONT)에서 MiniOn이라는 소형 기기를 출시하였다.

- ONT는 “Advances in Genome Biology and Technology meeting”에서 자사의 소형 시퀀서를 시용한 15분 만에 DNA를 추출하는 혁신적인 기술은 선보였다. Nanopore이름은 DNA 한 가닥만 통과할 수 있는 미세 구멍을 가진 pore를 통화시키면서 시퀀싱 하는 기술에서 가져온 것이다.

- Nanopore 시퀀싱은 이온의 흐름을 방해하는 염기에 의한 전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 핵심 원리이다.

 

 

Nanopore 시퀀싱 과정 살펴보기

 

Logsdon GA, Vollger MR & Eichler EE, Nat Rev Genet , 2020/ Laszlo A et al., Nat Biotechnol , 2014/Genomics Lab, Introduction to Nanopore sequencing, 2020

 

 

1. DNA는 먼저 processive enzyme phi29 polymerase에 부착되어 nanopore로 이동한다.

2. DNA helicase, exonuclease I, 나 oligonucleotides들이 DNA에 붙어서 이중 가닥을 풀고 pore안으로 서열을 이동시킨다.

3. 서열이 nanopore를 통과하는 속도는 phi29에 의해 조절되며, 수레바퀴처럼으로 이동시킨다.

4. 서열이 pore를 지나갈 때 전류의 흐름이 변화하며, 이는 전자적 신호로 변환된다.

 

장점

- 증폭이 필요 없어 prep과정이 간편하며, 단일가닥으로 시퀀싱이 가능하다.

- 한 번에 수 만 리드(kbp to mbp)를 읽을 수 있다,

- 한 손바닥 만한 크기로 휴대가 간편하다.

- SMRT에 비해 저렴하고 빠르다.

- 증폭 편향이 없고, SMRT에 비해 비교적 정확하다 (약~90%).

단점

- 생물학적 분자를 사용하는 기기로, 사용 기한이 유한하다.

 

 

 

 

 

| 시퀀싱 플랫폼 선택

Platform별 PCR과 시퀀싱 방법

Satam H et al., Biology, 2023

 

시간당 처리량과 read length

https://figshare.com/articles/dataset/developments_in_NGS/100940?file=5470847

 

샘플과 연구 목적에 따라 시퀀싱 길이를 정하고, 각 브랜드 별 시퀀서의 장단점에 따라 시퀀싱 방법을 설정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