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Observational Study designs에 관하여

김해김씨99대손 2022. 7. 11. 16:23

임상연구

  1. Descriptive study : 연구자가 자신의 경험이나 치료사례를 단순히 피력
  2. Explanatory study : 치료평가나병인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 비교기법을 사용
    • Experimental study : 다시 피험자를 어떤 치료에 배정하는 등 연구과정에 적극 개입, 통제
    • Observational study : 연구자가 진행되는 연구과정을 관찰
      • Case-control study :  이미 질병이나 결과를 가지고 있는 피험자를 이러한 결과가 없는 통제군과 어떤 특성이 다른지를 비교하는 연구
      • Cohort study : 연구자가 피험자를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각 군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추적관찰 하면서 결과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 Cross-sectional study : 한 시점에서 원인과 결과를 모두 얻어 상관성을 분석하는 연구

조금더 자세히 보면, Descriptive study는 연구자가자신의 경험이나 치료사례를 단순히 피력하는 연구로서 하지는 못함

 - 한 두 건의 관찰내용을 일반화할 수는 없다는 문제점을 지니는 가장 낮은 등급의 근거가 되는 디자인

 - case report , case series, ecologic study, crosssectional study가 이에 해당됨

 

이에 반해 Explanatory study는 비교군을 사용하여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연구

- Experimental study는 대게 현재에 시작하여 미래에 완성되는 전향적 연구로 수행되며 standard가 되는 연구 디자인으로 RCT (Randomized Controlled Trial)와 community trial등이 있음

 - Experimental study와 Observational study의 차이는 연구자의 적극적인 개입

 

Observational study는 다시 Cohort (Follow-up) study, Case-control study, Cross-sectional study로 나뉨

 - Cohort study는 전향적 연구와 과거시점을 현재인 것처럼 가정하여 과거에서시작 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결과를 얻는 후향적연구로 나뉨. 결과가 매우 드물게 나타나거나 결과를 얻기까지 시간이 너무 걸리면 연구 불가능 > 그럴때는 Case-Control이 대안

 - Case-control study는 대게 후향적 연구로 진행됨. 매우 드문 결과를 보일지라고 Case를 찾고 그에 대응하는 Control을 세워 군간 특성을 비교하면 된다

 - Cross-sectional study은 다른 연구와 다르게 한 시점만 연구 -> 인과관계 규명이 어렵다. 그러나 다른 연구와 달리 모든 사람이 피험자가 되어 결과를 갖는 사람들을 분류함으로 한 시점에서의 유병률 분석 가능

 

 

Table.Observational Study Design들의 특성 

Study designs Level of
Observation
환자 구분 Measure of
Association
장점 단점
Case report /
Case series
개인 outcome 보통 계산X - 자연기록이나 case에 대한 정보 생성
- 새로운 질병이나 조건 발견
- 보통 연관정도 계산 불가능
Ecologic 그룹 적용X Correlation - 상대적으로 빠르고 저렴 - Ecologic fallacy
Cross-sectional 개인 적용X Prevalence - 상대적으로 빠르고 저렴 - 시간적인 연관정도 추정 불가능
Case-control 개인 outcome Odds ratio - 상대적으로 드물게 나타나는 결과 연구 가능
- Cohort에 비해 저렴하며 빠름
- 드문 노출에 관한 연구에서는 실용적이지 않음
- 한 연구에서 여러 결과가 나오는 연구에 적용X
Cohort 개인 exposure Relative risk - 상대적으로 드물게 나타나는 노출 연구 가능
- 가장 명확하게 묘사된 시간적 연관성
- 발병률과 위험에 대한 직접적인 추정 계산 가능
- 드문 결과가 나오는 연구에는 실용적이지 않음
- 특히 전향적 연구에서 비용과 길이(?)가 증가됨

 

 

Hierarchy of study designs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Hierarchy-of-evidence-pyramid-The-pyramidal-shape-qualitatively-integrates-the-amount-of_fig1_311504831

 

 

 

 

 

 


Reference

- 문헌평가를 위한 임상연구디자인 이해

- DiPietro NA. Methods in epidemiology: observational study designs. Pharmacotherapy. 2010 Oct;30(10):973-84. doi: 10.1592/phco.30.10.973. PMID: 20874034.

- http://aspirekpco.weebly.com/uploads/1/5/9/3/15930538/pharmacotherapy_observational_studies.pdf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