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랩미팅에 관하여
- 출처 : https://neuromechanicslab.emory.edu/documents/advice-docs/Labmeetings.pdf
◼ 성공적인 랩미팅을 하려면?
- 목적을 설정해라
- 올바른 가치를 심어주자
- 단체안에서 이러한 가치를 심어주기 위한 전략을 세워라
- 미팅의 형식을 만들어라
- 개개인에게 개입해라(적극적으로 물어보라는 뜻)
◼ 랩미팅의 목적은?
- 아이디어를 공유하기 위해
- 커뮤니케이션 스킬을 기르기 위해
- 모든 맴버간의 통합과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 문제해결능력과 의사결정을 연습하기 위해
- 비판적인 사고를 촉진하기 위해
- Lab 구성원의 다양한 기술과 경험을 활용하여 모든 프로젝트의 성공을 극대화하기 위해
- 팀과 개인의 성취를 축하하기 위해
- 정보를 전파하기 위해
- 발표능력을 기르기 위해
◼ 랩미팅 형식
- 가능한 랩미팅 구성 요소
- 정식 발표(연구 보고) : 15분 이내, 10slide이내가 가장 좋다 👍
- 매주 업데이트
- 저널클럽
- 공지
- 한 주 요약, 보고
◼ 기타
- 랩미팅에는 모든 맴버가 참석한다. 저학년이든 고학년이든 상관 없다. 그러므로 당신이 말하는 것은 연구실의 모든 사람이 듣게 된다. 모든 사람은 다른 사람들이 하고있는 큰 그림들을 이해해야 한다. 만약 이해하지 못한다면 질문해라! 모든 사람은 각각의 장점과 약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최소한 모두가 연구실의 실험실의 모든 프로젝트의 기본 목표와 접근 방식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2. 기타 글 모음
- https://www.ibric.org/myboard/read.php?id=203349&Board=sori
랩미팅이 없는 실험실이 정상적인 걸까요..
이제 막 박사 과정을 시작한 학생입니다.석사 후 다른 학교 대학원에 합격해서 새로운 실험실에 들어갈 예정입니다.근데 얼마 전에...
www.ibric.org
- 랩미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데이타를 공유하고 토론하며 발표력을 기르는 것
- 데이타 조작이 쉽게 이루어지는 랩을 찾는 방법 중 1번이 랩미팅을 하지 않는 랩
- https://gksehd1213.tistory.com/16
[랩미팅/대학원 랩미팅(feat.토요일이 없는 대학원생의 랩미팅)]
랩미팅(Lab meeting)이란 무엇인가각 연구실마다 다르겠지만 내가있는 곳은 매주 토요일 오전9시~오후1시까지 랩미팅이 있다.랩미팅 시간에는 연구실 구성원들+교수님과 함께 매주 데이터 발표 및
gksehd1213.tistory.com
- http://scienceon.hani.co.kr/58165
'랩미팅 스타일’ 실험실마다 달라도, 두근두근 긴장과 설렘
한아름의 “실험실의 좌충우돌 일상” (7)언제나 ...
scienceon.hani.co.kr
저널클럽 : 너무 전문적인 내용이나 협소한 기술을 다룬 논문보다는 우리 실험실에서 하는 실험과 비슷한 주제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모두 무리 없이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의 논문을 선택 하는 일이 중요
- http://moon.jbnu.ac.kr/index.php?mid=moon_edu&document_srl=94398
moon_edu - [펌] 생산적인 랩 미팅을 위해 (Designing Productive Lab Meeting)
생산적인 랩 미팅을 위해 (Designing Productive Lab Meeting) 이 글은 The American Society for Cell Biology Newsletter 1998년 6월호에 실린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버클리 분교의 번사이드 교수님 (Beth Burnside) 의 글로서
moon.jbnu.ac.kr
랩 미팅에서 발표할 때는 각각의 실험실 구성원들이 한발자국 물러서서 그 동안 축적된 실험 결과를 재검토하고 자신들의 실험 계획에 대한 정당성을 다시 물어보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런 작업 그 자체만으로도 자신의 실험에 대한 장기적인 전망과 우선 순위 결정에 중요한 변화를 이끌어 낼 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실험실의 모든 구성원들은 상호간에 이와 같은 충고를 서로 주고 받아야 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겨야 하며 다른 한편으로 의무로 생각하여야 합니다. 이때 충고의 내용은 반드시 과학적인 문제나 어떻게 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의견교환을 할 수 있을까 하는 방법에 국한되어야 합니다. 충고를 하는 방법은 아주 큰 중요성을 갖습니다. 비평은 반드시 방법론이나 과학적 내용 그 자체에 제한되어야 합니다.
- https://www.slideshare.net/pelexus/ss-11919783
내가 대학원에 들어왔을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연구 노하우
내가 대학원에 들어왔을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연구 노하우 최윤섭 디지털 헬스케어 연구소 성균관대학교 삼성융합의과학원 최윤섭, Ph.D. 개정증보판 (ver. 2016)
www.slideshare.net
- https://gradschoolstory.net/yoonsup/to-be-a-good-researcher/
좋은 연구자란 무엇인가 (+ 몇 가지 사소한 팁)
자. 이제 이 길었던 시리즈를 마무리하려 한다. 지금까지 우리는 대학원에 진학하고 좋은 연구자가 되기 위해서 알아야 할 여러 가지 측면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내가 정말 대학원에 가야 하는
gradschoolstory.net
- https://hyodong28.tistory.com/23
대학(원)생의 저널미팅 ppt 발표 준비 예시
생각보다 랩 미팅 저널 미팅 검색으로 들어오시는 분이 있어서 저널 미팅했을 때의 저의 ppt를 조금 공유해보려 합니다. 물론 저도 발표 잘 못하는 그저 그런 학사 나부랭이(?)라서ㅠㅠ 도움이 될
hyodong28.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