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온의 흐름 - 세포 안은 K+, 세포 밖은 Na+, Cl-의 농도가 더 높음 → 이온의 이동(흐름)으로 전압이 형성 ※ 전압(V) = 전류*저항 이온 이동에 따른 막 전위 변화 💥 1) Resting 휴지기 2) Depolarization 탈분극: Na+이온이 세포 안으로 이동 -> 전압이 + 방향으로 3) Repolarization 재분극: K+ 이온이 세포 밖으로 이동 -> 전압이 - 방향으로 4) Hyperpolarization 과분극 (휴지기 보다 - 방향) 5) Resting 2. 심율동 - SA node, Atrial muscla, AV node의 심율동이 합쳐진 것이 ECG tracing이다. - 전류는 SA node 에서 시작해 주변 세포에 영향 -> 방향성을 가짐 => 방향성은 어..
1. Classification of virus - 볼티모어 분류 - 1971년에 처음 제정된 볼티모어 분류(Baltimore Classification)에 따라 바이러스는 다음 7가지로 분류된다: DNA 바이러스 I: dsDNA 바이러스(겹가닥 DNA 바이러스) - 아데노바이러스, 헤르페스바이러스, 마마바이러스 등 II: ssDNA 바이러스(외가닥 DNA 바이러스) RNA 바이러스 III: dsRNA 바이러스(겹가닥 RNA 바이러스) - 레오바이러스 등 IV: (+) ssRNA 바이러스(양성-극성 외가닥 RNA 바이러스) - 코로나바이러스, C형 간염 바이러스 V: (−) ssRNA 바이러스(음성-극성 외가닥 RNA 바이러스) - 에볼라, 오르토믹소바이러스, 오르토파라믹소바이러스 등 레트로 바이러스 V..
- Bioin과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가 주관하는 설문조사에서 가져옴 - 스타벅스 생각보다 자주 당첨되니 회원가입하고 조사에 참여하는 것도 좋은 기회이다! AQ1-1. Platform 바이오 분야 (기초·생명과학, 공통기반기술) 1. 차세대 롱리드 시퀀싱 (Next-generation long-read sequencing) 수십만 개 이상의 DNA/RNA 분자에 담긴 염기서열을 한 번에 10 kb 이상, 높은 정확도로 해독해 다양한 유전자 변이를 확인하는 기술 2. DNA 나노모터 (DNA nanomotor) DNA 가닥으로 이루어진 나노 미터 규모의 모터로, 자가조립이 가능하며 전기로 구동될 수 있어 생체 내 뿐 아니라 초소형 기계에도 적용 가능 3. 휴먼 바이롬 (Human virome) 인체 안팎에..
- 홈페이지: https://microbenotes.com/ - 출처: https://microbenotes.com/staphylococcus-hominis/ - 작성자: Anupama Sapkota - 편집자: Sagar Aryal Staphylococcus hominis- An Overview - Microbe Notes Staphylococcus hominis is a Gram-positive coagulase-negative member of Staphylococci that exists as a commensal on the human body. microbenotes.com Staphylococcus hominis 는 Staphylococci 의 Gram-positive coagulase-ne..
- 홈페이지: https://microbenotes.com/ - 출처: https://microbenotes.com/staphylococcus-capitis/ - 작성자: Anupama Sapkota Staphylococcus capitis- An Overview - Microbe Notes Staphylococcus capitis is a Gram-positive, coagulase-negative coccus, present as a part of the human normal flora. microbenotes.com Staphylococcus capitis은 Gram-positive, coagulase-negative coccus, 사람의 두피와 얼굴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공생균이다 coagulas..
수정: 2024.03.04 1. Alzheimer’s disease 1) 알츠하이머란? 치매란? - 치매는 일반적인 노화정도를 넘어선 인지와 기억의 진행적인 파괴를 말한다. 그러나 치매는 의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치매의 신호: 기억력 감퇴, 집중의 어려움, 기본 루틴 수행의 어려움, 기분의 변화가 심함 - 치매는 여러 기억감퇴 질환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용어임 알츠하이머와 치매의 차이? - 알츠하이머는 인식에 영향을 미치며, 새로운 것을 떠올리기 어렵고 기분과 행동이 많이 바뀌는 증상을 보인다. - 알츠하이머는 85세 이상의 50%가 영향을 받는 신경퇴행성 질병이다. 대부분 65세 이상에서 발현되며 드물게 30전에 전에 발현되는 경우도 있다. 이는 대부분 유전의 영향이 크다. 알츠하이머의 위험요소..
진행생물의 rRNA는 오른쪽 이미지의 구조를 가진다. rRNA를 이루는 Subunits은 5S, 5.8S, 28S, 18S가 있다. Fungus에서는 Subunits들의 정보를 담고 있는 유전자를 사용해서 계통을 분류한다. 이 중 각 subunit을 암호화하는 유전자 사이의 구역(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이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5.8S와 18S사이 구역을 ITS1 region, 5.8S와 28S사이 구역을 ITS2라고 한다. 이 구간을 추출할 때, primer는 대표적으로 4가지가 사용된다. ITS 1 region을 위해서는 primer ITS1과 ITS2가 사용되며, ITS2 region을 위해서는 ITS3,4 primer가 사용된다. ITS1은 ITS1 region..
유전자 서열을 볼 때 가끔 ACTGU를 제외한 글자가 등장하곤 한다. 이 서열들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 | IUPAC 명명법 IUPAC란 국제 순수-응용화학 연합(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에서 지정한 화학물 명명법으로, 단백질 서열이나 유전자 서열도 위 명명법을 따른다. | IUPAC protein - 우리가 단백질을 알파벳으로 줄여 부르는 것도 이 IUPAC 명명법을 따른 표기이다 IUPAC amino acid code Three letter code Amino acid A Ala Alanine C Cys Cysteine D Asp Aspartic Acid E Glu Glutamic Acid F Phe Phenylalanine G ..
V1-V3영역을 시퀀싱 한 서열을 Blast를 돌린 결과, 각 Raoultella ornithinolytica와 Raoultella planticola가 동일한 identity, qurry score 등 여러 지수의 값이 같아서 찾아보게 되었다. ⬛ Raoultella란? - 그람음성 산소성 막대균이다. - Proteobacteria문에 속하는 Enterobacteriaceae(장내 세균과)에 속한다. - 몇몇 항생제 내성이 존재하지만, 대게 사람에게서 큰 위험을 일으키지 않는 미생물로 취급되고 있다. - 이전에는 klebsiella 로 명명되었음 ⬛ Raoultella planticola - 1981년 Bagley 등이 당시까지 발견되었던 K. pneumoniae, K. oxytoca와 구분되는 K. ..
작성 : 2022-12-21 4대 major human 미생물의 Genus는 Staphylococcus, Streptococcus, cutibacterium, corynebacterium이 있다. 그중 Staphylococcus는 사람의 피부와 코점막에 많이 서식한다. 그렇다면 Stapylococcus(포도상구균)에 대해서 알아보자. 🟦 Staphylococcus 란? ◼ Staphylococcus의 이름 - staphylo- : 포도송이(bunch of grapes)를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이다 - coccus : grain, seed, berry를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로 spherical bacterium을 말한다 - 구형(spherical) = cocci라고 한다 ◼ Staphylococcus의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