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 : 2022. 7. 18.
- 수정 : 2022.10.28
의료정보학이란?
의료정보학은 DNA, RNA, 염기 레벨의 정보, 단백질, 효소, 호르몬에 이르는 폭넓은 미시 영역에서 생성되는 모든 DATA를 연구 대상으로 컴퓨터 기반 정보 시스템을 통한 데이터 마이니과 확률, 통계등 다양한 정보학적 분석 방법을 적용해 연구하는 생명정보학(BIOINFORAMATICS)을 포괄함과 동시에 임상 진료의 제 과정을 정보공학적 방법을 통해 향상시키기 위한 응용분야 전반을 포괄하는 임상의료정보학(CLINICAL INFORMATICS)을 포함하고 있다
<출처 : https://www.kosmi.org/bbs/content.php?co_id=sub1_2>
국내 의료 빅데이터 source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심평원 데이터)
-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공단 데이터)
- 보건의료 빅데이터 자료(Appendix 2)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임상 연구
- 질병의 발생 및 발생률 추이 분석
- 질병의 위험 인자 분석
- 치료 및 처치에 대한 특성 분석
- 질병과 관련된 비용 분석
<출처 : https://doi.org/10.17085/apm.2017.12.1.9>
강의
어떤 강의를 배워야 할 지 막막하다면
가톨릭 의과대학의 의료정보학교실의 교육을 참고하는 것이 좋다
- 의료정보학개/유전체학개론/의사결정이론과 인공지능/임상데이터웨어하우스/생명정보기반 빅데이터 분석/임상유전체학/원격의료와 모바일 헬스
Docuhut
- 바이오 정보학개론부터 헬스 빅데이터, 데이터 마이닝, 데이터 시각화, 시계열 분석, 의료정보학 강의
BiTEC MOOC
- 보건정보학
Kgol
- [유전체 의학], [의료인공지능] 카테고리 강의들
K-Mooc
- 부산가톨릭대-의료정보관리학, 대구한의대-의료정보학, 단국대학교-생물의료데이터 처리
Coursera
- 해외 강의사이트
기타 강좌들
- 의료빅데이터 강의록(아산병원에서 진행된 의료빅데이터 강의정리본)
유료강의
교육
- 서울아산병원 빅데이터 연구센터_의료정보분석 전문가 심화과정
- 한국디지털융합진흥원_바이오헬스 산업활성화를 위한 AI맞춤형 전문 교육사업 (https://bio.kidico.kr/)
정보 모음 사이트/카페
순천향대 의료IT학과 사이트 : https://m.cafe.naver.com/ca-fe/biomedinfo
관련 대학(원)
- 고려대/ 의료정보학과
- 경북대/ 의료정보학과
- 더 알아보기 : https://www.kosmi.org/bbs/content.php?co_id=sub6_3
머신러닝으로 임상데이터 다루기 예시
피마 인디언 당뇨병 예측 데이터 세트로 머신러닝 평가하기
생물정보학이 DNA를 위주로 다룬다면 의료정보학은 더 포괄적으로 볼 수 있을것 같다.
보통 생물학과에서 전공하기보단 IT관련 학과에서 대학원으로 진학하거나, 의대나 의전원 졸업생이 전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내가 지금 의료쪽을 전공하는지 자연과학을 전공하는지 의문이 들었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의료정보학으로 잡고 가면 좋을것 같아서 정리해 보았다.
근데 미생물데이터는 거의 생물정보학이긴 한데... 이쪽도 공부를 더 공부를 해보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