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Leung, M.H.Y., Tong, X., Bastien, P. et al. Changes of the human skin microbiota upon chronic exposure to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pollutants. Microbiome 8, 100 (2020). https://doi.org/10.1186/s40168-020-00874-1
Code 제공 👍👍
개요
PAHs 노출이 피부 노화화 색소 질환, 여드름, 피부암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지만, 정확히 어떤 메커니즘이 관여하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피부 미생물이 xenobiotic와 PAHs 분해에 연관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위 연구는 PAH 노출에 따른 미생물 군의 잠재적인 변화가 피부 질환에 연관이 있음을 시사한다.
우리는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두 도시(Baoding, Dalian)에 따라 약 200명의 중국인의 얼굴과 두피 마이크로바이옴을 조사하였다.
결과
1. Skin site and city as main drivers of microbiome variation in study population
Baoding 시에는 phenanthrene, fluoranthene, pyrene, fluorene, acenaphthylene, 과 anthracene 등의 PAHs가 풍부하게 존재하였으며, 9-OH fluorene, 2-OH-naphtalene, and 1-OH-anthracene 같은 대사물질도 풍부하다.
Dalian시는 Baoding 시에 비해 Cutibacterium의 subgenus oligotypes (OGTs)이 더 다양며, Fungal의 다양성도 더 높다. Baoding에 거주하는 사람의 두피에는 PAH를 분해한다고 알려진 Micrococcus, Paracoccus, Ralstonia, Novosphingobium, 과 Aestuariimicrobium 이 더 풍부하다.
이 외의 여드름과 dandruff, 샘플링 부위(Scalp, Face)가 주요한 미생물 군을 분류하는 지표이다. 그러나 나이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음.
=> PAHs노출이 많은 도시와 적은 도시에 따라 다양성과 taxa가 차이 난다.
2. Acne and dandruff were associated with reduced integration and stability in their crossdomain association networks in Baoding and Dalian
- 알고리즘: SPIEC-EASI, Correlation <= |0.15|
- 데이터: prevalance가 25% 이상
- degree는 network plot에서 edge의 수를 뜻한다
Cheek의 경우 정상대조군에서는 노드 수가 감소해도 Natural Connectivity 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때 Scalp와 Cheek의 네트워크 차이가 분명하게 드러난다. Cheek의 경우 정상 대조군에서 degre수가 많은 반면에, Scalp에서는 더 적은 값을 가진다. 특히, Acne가 있는 얼굴(cheek)과 dandruff가 있는 두피는 모두 정상대조군에 비해 네트워크의 degree(연결 정도)와 네트워크 안정성이 모두 낮았다.
=> 미생물 군의 연관성도 차이난다. 그러나 질환에 따른 차이가 더 크다
3. Bacterial and fungal taxa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exposure levels of PAHs and skin parameters independent of skin site and city of origin
- PAHs 노출 레벨에 따라 8군으로 나누어 보니, bacteria의 Alpha diversity가 노출 레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볼에서 Propionibacterium 는 감소하고 Malassezia 는 증가하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 Sparse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sCCA)을 통해 전반적인 PAH와 연관이 높은 OTU를 선정하였다. 이에 따라
- MaAsLin2을 통해 다변량 연관 분석 -> 미생물 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host factor)은 나이, 사는 도시, 여드름 유무, 색소질환(cheek)과 dandruff (scalp)가 포함되었다.
=> PAHs의 level에 따라 다양성과 Taxa가 크다. 다변량 분석 결과 이전 결과와 동일하게 도시, 질환 유무가 큰 영향을 미쳤다.
4. Majority of pollutant-associated signature taxa deviated from the neutral assembly process
- AIC값에 따라서 neutral/ Binomial/ Poisson 중에 어떤 모델이 위 데이터를 더 잘 설명하는지 평가 -> neutral model이 가장 높은 점수
- 그러므로 Sloan neutral model predictions로 각 미생물 군을 적합해보자
- bacteria와 fungi 모두 Baoding 에 비해서 Dalian 의 cheek이 niche-based assembly(R2와 M값이 낮음)를 보였다
( Sloan neutral model predictions 설명: https://bio-kcs.tistory.com/entry/Rphyloseq-Neutral-community-ModelNCM-%EA%B7%B8%EB%A6%AC%EA%B3%A0-%ED%95%B4%EC%84%9D%ED%95%98%EA%B8%B0)
- Propionibacterium, Staphylococcus 및 malassezia 등의 abundance가 높은 OTU들은 모델의 예측 95% 신뢰 구간 외(초록색)에 위치했으며, 반대로 Paracoccus 및 Corynebacterium은 아래(주황)에 위치하였다.
- 기존 MaAsLin2 결과의 유의한 OTU들은 모델의 95% 이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 예측보다 빈도가 높았음
=> 중립모델에 적합했을 때 기존 PAH 노출도와 유의했던 종들은 특이적으로 빈도가 높았다.
==> Scalp의 결과는 기존 연구(Kim)와 반대된 결과이지만, 두피는 cheek과 다른 특성을 다름으로 예상된 결과이다.
==> PAH관련 유의한 미생물 군은 모두 중립에서 벗어났다 -> 이는 미생물 군이 인구 집단에서 선택된다는 것을 의미
5. Associations between exposure levels of PAHs and commensal bacteria on skin revealed by pilot metagenomics
- PAH에 대해 노출이 매우 높거나(level8) 낮은(level1) 일부 샘플로 metagenome분석 수행 -> MaAsLin2으로 PAH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KO와 taxa에 따라 네트워크 연관성 분석 수행
- M. luteus 와 fluoranthene and benzo [b] fluoranthene는 강한 음의 상관관계, A. johnsonii와 phenanthrene 도 매우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oral bacterial인 Actinomyces viscosus는 benzo[k]fluoranthene 및 acenaphthylene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임
=> 특정 물질과 특정 균이 강력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을 보아 PAH가 공생균의 조성에 잠재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시사한다
==> 기존 아시아인에서 구강 박테리아와 노화의 연관성 -> 조기노화에 대한 가능성?
==> PAH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미생물 덕분에 분해도 가능하지만, 중간 대사산물이 독성을 띌 수 있다.
6.Exposure to specific PAHs associated with different functions involved in microbial-host interactions
- UniRef50를 KO로 변환 -> MaAsLin2 로 통계분석
- 대부분의 유의한 KO는 (i) host 의 생리(아미노산 합성, biotin 대사)(ii) microbial virulence, glycerophospholipid, 와 LPS 합성 그리고 (iii) 방향 분자 분해에 속한다
결론
PAH 노출 단계에 따라 미생물군의 변화과 관찰/ 네트워크의 안전성 감소/ 미생물 군의 변화는 병원성의 잠재력 증가 및 방향족 분자 분해를 초래
AIC(Akaike information criterion): 저저익선
sCCA(Sparse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MAXVAR-A: hierarchical multi-block analysis